BIBI BLOG

Xcode 각 영역과 명칭 <1> 본문

iOS/Xcode

Xcode 각 영역과 명칭 <1>

BIBI⭐️ 2021. 12. 22. 09:00
728x90

Xcode란?
애플에서 제공하는 코코아 개발용 통합 개발 환경(IDE)

xcode 명칭

♦︎툴바 영역(Tool Bar Area)
작업용 도구들이 모여있다.
프로젝트의 상태와 결과를 나타낸다.
각종 보조적인 창을 여닫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네비게이터 영역(Navigator Area)
프로젝트에 작성된 소스코드나 리소스 파일을 목록형식으로 보여주고, 클래스나 구조체, 메소드와 같은 심벌 탐색 및
프로잭트 내에서 사용된 텍스트를 검색하는 등 주로 필요한 항목을 탐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탭별로 나눠진 아홉개의 하위 탐색기를 제공한다.

•프로젝트 네비게이터( command(⌘) + 1 )
상단의 첫번째 탭.
작업중인 프로젝트의 파일 구성을 보여주는 네비게이터.

•소스 컨트롤 네비게이터( command(⌘) + 2 )
상단의 두번째 탭.
소프파일의 버전 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네비게이터.
Xcode 9.0부터 새로 추가됨.
리포지터리(Repository, 소스 관리 전용 공간)를 생성해야만 사용 가능.
  ⇢신규 프로젝트 생성시 옵션에서 [Create Git Repository on My Mac]을 선택
  ⇢생성된 상태시 Xcode메뉴에서 [Source Control]→[Create Git Repository]를 선택

•심볼 네비게이터( command(⌘) + 3 )
상단의 세번째 탭.
프로젝트에서 작성된 클래스나 구조체, 메소드 등의 심벌을 구조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네비게이터.

•검색 네비게이터( command(⌘) + 4 )
상단의 네번째 탭.
프로젝트 내부의 내용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기능

•이슈 네비게이터( command(⌘) + 5 )
상단의 다섯번째 탭.
코딩 도중에 잘못된 문장을 입력하거나 틀린 문법을 사용하면 경고나 오류 표시를 즉각적으로 표시.
경고나 오류 클릭하여 활성화하면 해당 내용에 대한 상세 정보 확인 가능.

•테스트 네비게이터( command(⌘) + 6 )
상단의 여섯번째 탭.
프로젝트 테스트 목적으로 생성된 클래스 정보를 보여주는 영역.
  ⇢테스트를 목적으로 하는 클래스인 XCTestCase를 상속받아야 한다.

•디버그 네비게이터( command(⌘) + 7 )
상단의 일곱번째 탭.
Xcode에 연결된 상태로 디바이스 혹은 시뮬레이션이 실행되면 실행 내용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보여주는 영역.
브레이크 포인트를 사용할 경우, 브레이크 포인트에서 실행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다음 명령을 기다리는 형태로도 표시된다.
✤디버깅 중에만 정보가 표시된다.

•브레이크 포인트 네비게이터( command(⌘) + 8 )
상단의 여덟번째 탭.
소스코드를 실행 중간에서 코드의 진행을 멈추고 메모리나 변수값 등의 내용물을 확인해야 할 경우, 코드의 진행을 멈출 수 있는 특정한 표시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는 브레이크 포인트(Breakpoint, 중단점)을 설정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포인트가 걸려있는 목록을 확인하고 다음 액션을 관리할 수 있는 영역.

•리포트 네비게이터( command(⌘) + 9 )
상단의 아홉번째 탭.
빌드 결과나 실행결과 등의 작업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네비게이터.
작업이 처리된 내역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네비게이터 화면 하단의 필터 바와 함께 사용하면 원하는 내용만 필터링 할 수 있으므로 처리결과를 비교할 때 편리하다.

728x90
Comments